- 전라남도 종가회
- 종가사업
- 종가알림
- 종가연구
- 강진 해주최씨 현감공파 최각 종가
- 곡성 장흥마씨 충정공 종가
- 구례 문화류씨 곤산군파 귀만와 종가
- 나주 나주임씨 대종가
- 나주 밀양박씨 청재공파 청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양진재파 양진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의열공파 학봉 종가
- 담양 제주양씨 창암공파 창암 종가
- 보성 보성선씨 부사공파 망해정 종가
- 보성 진원박씨 장계파 박윤원 종가
- 순천 목천장씨 충의공파 충의공 종가
- 순천 옥천조씨 절민공파 절민공 종가
- 영암 김해김씨 사군파 양무공 종가
- 영암 남평문씨 순평부원군파 애송당 종가
-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현윤명 종가
- 영암 창녕조씨 태호공파 태호 종가
- 영광 연안김씨 직강공파 김인택 종가
- 영광 영월신씨 적순부위공파 신이온 종가
- 영광 전주이씨 양도공파 양도공 종가
- 장성 울산김씨 문정공파 하서 종가
- 장성 행주기씨 금강공파 금강 종가
- 장흥 수원백씨 기봉공파 기봉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반계공파 반계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웅천공파 위정렬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판서공파 위덕화 종가
- 함평 함평이씨 효우공파 만호공 종가
- 해남 해남윤씨 어초은파 어초은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 복사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참봉공파 양응필 종가
- 종가사진
- 문의사항
- 전남문화관광
- 종가회후원
- 강진 해주최씨 현감공파 최각 종가
- 곡성 장흥마씨 충정공 종가
- 구례 문화류씨 곤산군파 귀만와 종가
- 나주 나주임씨 대종가
- 나주 밀양박씨 청재공파 청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양진재파 양진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의열공파 학봉 종가
- 담양 제주양씨 창암공파 창암 종가
- 보성 보성선씨 부사공파 망해정 종가
- 보성 진원박씨 장계파 박윤원 종가
- 순천 목천장씨 충의공파 충의공 종가
- 순천 옥천조씨 절민공파 절민공 종가
- 영암 김해김씨 사군파 양무공 종가
- 영암 남평문씨 순평부원군파 애송당 종가
-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현윤명 종가
- 영암 창녕조씨 태호공파 태호 종가
- 영광 연안김씨 직강공파 김인택 종가
- 영광 영월신씨 적순부위공파 신이온 종가
- 영광 전주이씨 양도공파 양도공 종가
- 장성 울산김씨 문정공파 하서 종가
- 장성 행주기씨 금강공파 금강 종가
- 장흥 수원백씨 기봉공파 기봉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반계공파 반계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웅천공파 위정렬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판서공파 위덕화 종가
- 함평 함평이씨 효우공파 만호공 종가
- 해남 해남윤씨 어초은파 어초은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 복사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참봉공파 양응필 종가
- 전라남도 종가회
- 종가사업
- 종가알림
- 종가연구
- 강진 해주최씨 현감공파 최각 종가
- 곡성 장흥마씨 충정공 종가
- 구례 문화류씨 곤산군파 귀만와 종가
- 나주 나주임씨 대종가
- 나주 밀양박씨 청재공파 청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양진재파 양진재 종가
- 담양 장흥고씨 의열공파 학봉 종가
- 담양 제주양씨 창암공파 창암 종가
- 보성 보성선씨 부사공파 망해정 종가
- 보성 진원박씨 장계파 박윤원 종가
- 순천 목천장씨 충의공파 충의공 종가
- 순천 옥천조씨 절민공파 절민공 종가
- 영암 김해김씨 사군파 양무공 종가
- 영암 남평문씨 순평부원군파 애송당 종가
-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현윤명 종가
- 영암 창녕조씨 태호공파 태호 종가
- 영광 연안김씨 직강공파 김인택 종가
- 영광 영월신씨 적순부위공파 신이온 종가
- 영광 전주이씨 양도공파 양도공 종가
- 장성 울산김씨 문정공파 하서 종가
- 장성 행주기씨 금강공파 금강 종가
- 장흥 수원백씨 기봉공파 기봉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반계공파 반계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웅천공파 위정렬 종가
- 장흥 장흥위씨 판서공파 위덕화 종가
- 함평 함평이씨 효우공파 만호공 종가
- 해남 해남윤씨 어초은파 어초은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 복사
- 화순 제주양씨 학포공파 학포 종가
- 화순 제주양씨 참봉공파 양응필 종가
- 종가사진
- 문의사항
- 전남문화관광
- 종가회후원
전라남도 종가역사문화 진흥 조례
[시행 2023. 2. 28.] [전라남도조례 제5685호, 2023. 2. 28., 제정]
전라남도(문화예술과), 061-286-5441
이 조례는 전라남도에 소재한 전통종가의 역사문화 유산을 보존ㆍ계승 및 활용을 통해서 종가의 역사문화 진흥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종가 진흥에 관하여 다른 조례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조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.
① 전라남도지사(이하“도지사”라 한다)는 종가 역사문화의 보존ㆍ계승 및 진흥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다.
② 도지사는 시장ㆍ군수와 협력하여 실효성 있는 종가 역사문화 진흥 정책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행정적ㆍ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.
도지사는 종가 역사문화의 보존ㆍ계승과 진흥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종합적인 진흥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할 수 있다.
1.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사업의 지원 기본방향 및 목표
2.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사업 지원을 위한 재원 마련
3.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사업 발굴
4. 그 밖에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에 관한 사항
도지사는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실시할 수 있다.
1.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사업
2. 종가 역사문화 유산의 유지 관리 및 활용사업
3. 종가 역사문화를 활용한 문화관광 및 행사에 관한 사업
4.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및 관리 지원에 관한 사업
5. 종가 역사문화 유산 통합 보존관리 및 운영에 관한 사업
6. 종가 역사문화를 활용한 창업 및 교육 등에 관한 사업
7. 그 밖에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진흥에 관한 사업
도지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심의 및 자문을 위하여 도지사 소속으로 전라남도 종가 역사문화진흥위원회(이하“위원회”라 한다)를 둘 수 있다.
1. 종가 역사문화 보존ㆍ계승 및 활용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
2. 종가 역사문화 보존 진흥계획 수립 및 사업 지원
3. 종가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및 관리
4. 그 밖에 위원장이 심의ㆍ자문에 부치는 사항
① 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하여 15명 이상의 위원으로 구성한다.
②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위원들이 호선(互選)하며 위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 중에서 도지사가 임명 또는 위촉한다.
1. 전라남도 종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
2. 종가의 역사ㆍ자료ㆍ시설ㆍ관광ㆍ식품 등 관련 분야 전문가
3.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관련 단체 임원 또는 전문가
4. 전라남도 종가 단체에서 추천한 사람
5. 그 밖에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
③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. 다만,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남은 기간으로 한다.
① 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 또는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.
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(開議)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.
③ 위원회에는 간사 1명을 두며, 간사는 종가업무 담당 팀장이 된다.
④ 이 조례에서 정한 것 외에 위원회의 회의ㆍ운영 등에 세부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.
도지사는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하여 제5조 각 호의 사업을 전라남도 종가단체나 전문성이 있는 관계기관,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.
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.